Elec/전기설계 엔지니어 스터디

MCB란? | 소형 차단기의 정의부터 전기설계 적용까지 정리

Gsik 2025. 5. 29. 16:19

LS산전 MCB 차단기

1. 정의

**MCB(Miniature Circuit Breaker)**는 정격 전류가 비교적 낮은 저압 회로의 과부하 및 단락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형 차단기입니다.
배선 보호, 분기 회로 보호에 주로 사용되며, 가정, 상업시설, 소규모 산업 설비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차단기입니다.

MCB는 일반적으로 정격 전류 63A 이하의 회로에 사용되며, 기존의 **퓨즈(Fuse)**를 대체하는 역할로 보급되었습니다.


2. 동작 원리

MCB는 열자기 복합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MCCB 동작원리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과부하 보호(열동식 트립)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 발열 → 금속판이 휘어 → 트립 메커니즘을 작동시켜 차단합니다.
  • 단락 보호(자기식 트립)
    단시간에 큰 전류(단락 전류)가 흐를 경우 내부 전자석이 강한 자력을 발생 → 차단 접점을 순간적으로 개방시켜 회로를 빠르게 차단합니다.

이 두 가지 보호 기능은 하나의 장치에 통합되어 있으며, 자동 복귀는 불가능하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다시 올려야 함이 특징입니다.


3. 주요 용도

MCB는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 가정용 분전반: 조명, 콘센트 등 회로 보호
  • 소규모 상가, 오피스텔, 사무실: 부하별 회로 분기 보호
  • 소형 제어반: DC24V, AC220V 부하 회로 보호
  • PLC 시스템 주변회로: 신호선 단락/과전류 대비

MCB는 차단 후 수동 복귀가 가능하므로, 퓨즈와 달리 부품 교체 없이 재사용 가능하다는 실무적 장점이 큽니다.


4. 설계 시 고려사항

MCB를 선정하거나 설계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격 전류(Rated Current)
    회로에 흐를 최대 전류를 기준으로 80~125%의 여유를 두고 선택합니다. (예: 조명 회로 10A → 16A MCB 선택 가능)
  • 차단 용량(Breaking Capacity)
    단락 발생 시 회로에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주택용은 보통 3kA 또는 6kA, 산업용은 10kA 이상을 선택합니다.
  • 극 수(Pole 수)
    1P: 단상 2선식 회로
    2P: 단상+중성선 포함 회로
    3P: 삼상 회로
    4P: 삼상+중성선 포함 회로에 사용됩니다.
  • 트립 특성 곡선 (Curve Type)
    MCB는 부하 특성에 따라 트립 곡선을 선택해야 합니다. 트립곡선은 다음에 따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 B Curve: 저전류 부하용 (조명, 가정용 기기)
    • C Curve: 중간 부하용 (일반 산업용)
    • D Curve: 기동전류가 큰 부하용 (모터, 트랜스)

5. MCB vs MCCB 차이점

  • 정격 전류: MCB는 63A 이하 / MCCB는 수백 A까지 가능
  • 크기: MCB는 소형, 레일 설치형 / MCCB는 대형, 볼트 고정형
  • 용도: MCB는 분기 회로, 소형 부하 / MCCB는 설비 메인 차단, 대전류 보호
  • 트립 조정: MCB는 고정식 / MCCB는 일부 모델에서 조정 가능

6. 관련 규격 및 인증

  • IEC 60898-1: 가정 및 유사 용도의 회로 차단기에 대한 국제 표준
  • KS C 8322: 국내 소형 차단기 규격
  • UL 489 / UL 1077: 북미용 차단기 인증
  • CE 인증: 유럽 시장 유통용
  • 명판 정보에는 정격 전류, 차단 용량, 트립 곡선, 극 수 등이 표기되어 있으며, 회로도에는 일반적으로 [–] 표시로 기입됩니다.

7. 마무리 요약

MCB는 소형 부하 회로 보호에 특화된 간단하고 신뢰성 높은 보호장치입니다.
정격 전류, 차단 용량, 트립 곡선을 정확히 이해하고 설계에 적용하는 것이 안전한 회로 구성의 핵심입니다.
퓨즈를 대체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길고 복귀가 용이해 유지보수에도 유리합니다.

반응형